1. Docker 가본 명령어
1)run - 컨테이너 시작
- docker run : 해당 명령어는 이미지로부터 컨테이너를 처음 실행할 때 사용된다.
- docker run -d : -d옵션을 사용하면 docker 컨테이너를 분리 모드로 실행한다. 이를 통해 docker 컨테이너를 백그라운드 모드에서 실행하게 된다.
2)ps - 실행되는 컨테이너 리스트
- docker ps : 해당 명령어는 다음과 같이 현재 실행되고 있는 컨테이너의 리스트 및 기본 정보를 나열해준다.
- docker inspect 컨테이너 이름 : 컨테이너의 세부적은 정보를 나열
- -a 옵션을 뒤에 붙인다면 실행되고 있는 것 뿐만 아니라 모든 컨테이너의 리스트 및 기본 정보를 나열해준다.
3)stop - 컨테이너 중지
- docker stop : 해당 명령어는 컨테이너를 멈추고 멈춘 컨테이너 이름이 출력된다.
4)rm - 컨테이너 삭제
- docker rm : 멈추거나 종료한 컨테이너를 영구적으로 삭제할 수 있다.
5)images -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 리스트
- docker images :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 목록과 이미지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
6)rmi - 이미지 삭제
- docker rmi : 사용하지 않는 이미지를 삭제한다.
이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이미지로 만든 모든 컨테이너를 중단하거나 삭제해야한다.
7)pull - 이미지만 가져오기
- docker pull : 컨테이너 실행 없이 이미지만 pull 할 수 있다.
8)exec - 파일 콘텐츠 확인
- docker exec : 특정 컨테이너의 파일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.
9)attach - 컨테이너 연결모드
- docker attach : 실행중인 컨테이너의 기본 프로세스에 직접 연결(접속)하는 명령어
2. Docker Run 심화
1)tag - 버전 관리
- docker run redis:4.0 : 4.0버전의 redis이미지를 가져와 컨테이너를 실행, tag를 설정하지 않으면 가장 최신 이미지를 가져온다.
2)-i (interactive) - 표준입력(stdin)을 컨테이너에 연결
- docker run -i ubuntu : 컨테이너는 실행되지만, 터미널처럼 보이지 않고 입력만 받기 가능
3)-t (tty) - 가상 터미널 할당
- docker run -t ubuntu : 터미널은 할당되지만, 입력은 할 수 없음
4)-it (상호작용 가능한 터미널)
- 표준 입력도 연결되고, 터미널 환경도 갖춤 -> 컨테이너 안에서 리눅스 환경처럼 명령어 입력 가능
5)-p (PORT mapping) -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포트 mapping
- docker run -p 80:5000 kodekloud : docker 컨테이너의 포트5000와 로컬 호스트 포트 80을 연결하여 mapping
6)-v (Volume mapping) - 데이터가 사라지는걸 방지하기 위해 내부 디렉토리와 외부 디렉토리 mapping
- docker run -v /opt/datadir:/var/lib/mysql mysql : /opt/datadir이라는 외부 디렉토리를 /var/lib/mysql 내부 디렉토리와 연결
'Docker Class Review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ocker Class (Image) (0) | 2025.08.27 |
---|---|
Docker Class (Dockerfile) (0) | 2025.08.19 |